맨위로가기

천문학의 임시 명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문학의 임시 명칭은 소행성, 혜성, 위성 및 고리 등 천체의 발견 시점에 부여되는 일시적인 식별 체계이다. 소행성의 경우, 1925년부터 사용된 체계는 발견 연도, 반달을 나타내는 두 개의 라틴 문자, 발견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로 구성되며, 혜성의 경우 발견 연도와 반월을 나타내는 문자, 발견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를 사용한다. 위성 및 고리의 경우, S/ 또는 R/로 시작하여 발견 연도, 중심 행성을 나타내는 문자, 발견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를 사용한다. 또한, 소행성체 센터에서는 데이터베이스 및 전자 문서에 사용되는 압축형 명칭 체계를 사용하며, 연도, 숫자, 반월 알파벳, 순서 알파벳을 조합하여 7글자로 표현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행성 위성계 - 지구의 위성
    지구의 위성은 지구를 공전하는 천체들을 의미하며, 달 외에도 준위성, 트로이 소행성, 일시적 위성 등이 존재하고, 태양계 역학 관계 및 우주 탐사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 소행성체 - 소행성체명
    소행성체명은 발견 및 궤도 계산이 완료된 소행성에 국제천문연맹이 부여하는 고유한 이름과 번호로, 발견 연도, 소행성 번호, 이름을 함께 표기하며, 발견자에게 이름 제안 권한을 부여하고 소행성 작명 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확정된다.
  • 소행성체 - 접촉소천체
    접촉소천체는 두 개 이상의 천체가 접촉하거나 매우 가까이 붙어있는 형태로, 태양계 천체 형성 및 진화 연구에 중요하며, 다양한 종류의 천체에서 발견되어 레이더 관측, 탐사선 임무 등을 통해 연구되고 있다.
  • 천문학의 명명법 - 별의 이름
    별의 이름은 별을 식별하고 분류하기 위한 다양한 명명법을 설명하며, 국제천문연맹(IAU)은 별의 고유 이름 표준화와 더불어 개인의 이름을 딴 별, 외계 행성 및 그 모성에 대한 대중 명명도 진행하며, 과학 단체의 별 이름 명명권 판매는 인정하지 않는다.
  • 천문학의 명명법 - 소행성체명
    소행성체명은 발견 및 궤도 계산이 완료된 소행성에 국제천문연맹이 부여하는 고유한 이름과 번호로, 발견 연도, 소행성 번호, 이름을 함께 표기하며, 발견자에게 이름 제안 권한을 부여하고 소행성 작명 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확정된다.
천문학의 임시 명칭
천문학 임시 명칭
정의천체의 발견 후 공식 명칭이 부여되기 전에 사용되는 명칭
유형소행성 임시 명칭
혜성 임시 명칭
소행성 임시 명칭 체계
구성 요소연도 (예: 2023)
공백
발견 순서를 나타내는 문자 (예: A, B, C, ..., Y, Z, a, b, ..., z)
발견 순서 내에서의 추가적인 숫자 (필요한 경우, 아래 설명 참조)
규칙 및 형식한 달을 24개 반(半)으로 나누어 각 반월에 순서대로 영문자 A에서 Y까지 (I 제외) 부여한다.
해당 반월에 25개 이상의 소행성이 발견되면, 해당 문자 뒤에 아래 첨자로 숫자를 추가하여 표기한다. (예: A1, A2, ...)
하나의 문자 및 숫자 조합으로 해당 반월의 모든 소행체를 표기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 두 번째 문자(a, b, ..., z)가 사용된다.
1893년까지 발견된 소행성은 발견 순서대로 번호가 매겨졌고, 그 번호가 정식 명칭의 일부가 되었다.
예시2023 AA
혜성 임시 명칭 체계
구성 요소연도 (예: 2023)
공백
발견 순서를 나타내는 문자 (예: A, B, C, ..., Y, Z, a, b, ..., z)
숫자는 혜성의 종류를 나타낸다 (C: 단주기 혜성, P: 주기 혜성, D: 소멸 혜성, X: 계산 불가 혜성, I: 성간 혜성)
예시C/2023 A3 (즈TF)
설명혜성의 이름은 발견자(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다.
발견자가 여럿일 경우, 최대 3명의 이름을 사용할 수 있다.
즈TF는 Zwicky Transient Facility를 의미한다.

2. 소행성체

현재 소행성, 센타우루스, 해왕성 바깥 천체를 포함하는 소행성체의 임시 명칭 체계는 1925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소행성체 수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 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대체되었다.

소행성 임시 명칭이 아닌 소행성체 명명법에 대해서는 Minor-planet designation|소행성체 명명법영어 문서를 참고하라.

소행성 센터(MPC)의 궤도 데이터베이스(MPCORB)에서는 모든 임시 명명된 소행성을 지칭하기 위해 "압축 형식"을 사용한다. "압축되지 않은" 형식의 임시 소행성 명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신형 임시 명칭 체계 문단을 참조하라.

2. 1. 신형 임시 명칭 체계

현재의 소행성(소행성, 켄타우루스, 해왕성 바깥 천체) 임시 명명법은 1925년부터 시행되었다. 이 명명법은 소행성 발견 수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 체계들이 한계에 도달하여 대체용으로 개발되었다. 현대 임시 명칭은 발견 연도, 두 글자, 그리고 숫자로 구성된다.

  • 연도: 발견 연도를 나타낸다.
  • 첫 번째 문자: 해당 연도 내에서 천체가 발견된 반달을 나타낸다.
  • 두 번째 문자와 숫자: 해당 반달 내에서 발견 순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15760 알비온의 임시 명칭은 1992 QB1인데,

  • '1992'는 발견 연도를,
  • 'Q'는 8월 16~31일 기간을,
  • 'B1'은 해당 반달에 발견된 27번째 소행성(1회 완료 후, 현재 순서의 두 번째 위치)을 뜻한다.


이 방식은 1925년 이전 발견에도 소급 적용된다. 이때 연도 첫 숫자는 A로 대체된다. 예를 들어 A801 AA는 1801년 1월 전반에 발견된 첫 천체(1 세레스)를 나타낸다.[1]

2. 1. 1. 발견 시기 표기

임시 명칭에서 첫 번째 문자는 천체가 발견된 연도 내에서 어느 반월(半月)에 발견되었는지를 나타낸다. 각 반월은 해당 월의 1일부터 15일(전반)과 16일부터 말일(후반)까지로 나뉜다. 예를 들어, 'A'는 1월 전반, 'D'는 2월 후반을 의미한다. 단, 'I'는 숫자 1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으며, 'Z'는 사용되지 않는다.

ABCDEFGHJKLMNOPQRSTUVWXY
1월
1–15
1월
16–31
2월
1–15
2월
16–29
3월
1–15
3월
16–31
4월
1–15
4월
16–30
5월
1–15
5월
16–31
6월
1–15
6월
16–30
7월
1–15
7월
16–31
8월
1–15
8월
16–31
9월
1–15
9월
16–30
10월
1–15
10월
16–31
11월
1–15
11월
16–30
12월
1–15
12월
16–31



예를 들어, 2003년 11월 전반에 발견된 (90377) 세드나의 임시 명칭에서 'V'는 11월 전반을 나타낸다.

2. 1. 2. 발견 순서 표기

두 번째 문자와 숫자는 해당 반월 내 발견 순서를 나타낸다. 해당 반월의 처음 25개 발견은 숫자 없이 I를 제외한 알파벳만 사용하며, 뒤 숫자는 알파벳(A~Z) 반복 횟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K156에서 156은 A~Z를 156번 사용했다는 뜻으로, 156 × 25(알파벳 수) = 3900이다. K는 10번째 알파벳이므로, 해당 천체는 그 반월에 3910번째로 발견된 것이다.

숫자
123456789101112...n
025507510012515017520022525027530025 × n



예를 들어, 15760 Albion은 1992년 8월 16일부터 31일 사이에 발견된 27번째 천체이다. 1950년 3월 후반에 발견된 8번째 소행성의 임시 명칭은 '''1950 FH'''이다. 같은 반달 동안 25번째로 발견된 소행성의 두 번째 문자는 Z가 된다. 현대 천체 탐색 기술 발달로 반달 내 25개 이상 발견이 일반적이어서, 26번째 이후 발견에는 A1, B1 ... 처럼 두 번째 문자에 숫자를 붙여 반복 횟수를 나타낸다. 1950년 3월 후반 28번째 소행성은 '''1950 FC1'''이다. 기술적 이유로 아래첨자를 못 쓰면 '''1950 FC1'''처럼 표기한다.

2004년 1월 1일 최초 발견 소행성은 '''2004 AA'''였다. 이후 '''2004 AZ'''까지, 다음은 '''2004 AA1'''이 되었다. 이어서 '''2004 AB1''', '''2004 AC1''' 등으로 명명되었다. 1월 전반 발견은 '''2004 AA276'''까지, 1월 후반 첫 발견은 '''2004 BA'''였다.

2013년 1월 31일 현재, 소행성 임시 부호는 105만 2994개가 사용되었다. 소행성 발견이 가장 많았던 반 달은 2005년 10월 후반이다.[11] 이 16일 동안 1만 3289개 소행성이 관측되어 임시 부호를 받았다. 마지막 천체 임시 부호는 '''(380784) 2005 UO531'''이다.

2. 1. 3. 추가 설명

2014 AA와 같이 연도와 알파벳 두 개로 시작하는 명명 규칙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문자
ABCDEFGHJKLMNOPQRSTUVWXY
1월
1–15
1월
16–31
2월
1–15
2월
16–29
3월
1–15
3월
16–31
4월
1–15
4월
16–30
5월
1–15
5월
16–31
6월
1–15
6월
16–30
7월
1–15
7월
16–31
8월
1–15
8월
16–31
9월
1–15
9월
16–30
10월
1–15
10월
16–31
11월
1–15
11월
16–30
12월
1–15
12월
16–31
두 번째 문자
ABCDEFGHJKLMNOPQRSTUVWXYZ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



숫자
123456789101112...n
025507510012515017520022525027530025 × n


  • 연도: 천체가 발견된 연도를 가리킨다.
  • 첫 번째 문자: 천체가 발견된 반월(半月)을 가리킨다.
  • 범위는 A(1월 1~15일)부터 Y(12월 16~31일)까지이다.
  • I는 숫자 1과 혼동되기 때문에 건너뛰며, Z는 사용되지 않는다.
  • 첫 번째 반월은 해당 달의 1/2가 아닌, 항상 1~15일이다. (예: 2월의 반은 1~14일이지만, C는 2월 1~15일이다)
  • 두 번째 문자: 해당 반월에 발견된 총 천체들 중 해당 천체가 몇 번째에 속하는지를 나타낸다.
  • 첫 25개는 뒤 숫자 없이 I를 제외한 알파벳 전부를 사용한다.
  • 숫자: 알파벳 바퀴 수(A~Z가 몇 번 돌았는지)를 나타낸다.
  • 예시: K156에서 156은 A~Z를 156번 사용했다는 뜻이다. (156×25(알파벳 수)=3900)
  • K는 10번째 알파벳이므로 해당 천체는 해당 반월에 3910번째로 발견된 천체이다.


이 명명 체계는 두 번째 알파벳이 뒤 숫자보다 상대적으로 자릿수가 적지만 앞쪽에 배열된다는 특이점이 있다.

아스키 코드 등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숫자는 "평평하게" 작성될 수도 있다. (예: 1989 SG1은 1989 SG1로도 쓸 수 있다)

2. 2. 조사 프로젝트 명칭

1960년부터 1977년까지 팔로마 천문대와 레이덴 천문대의 합작 프로젝트인 팔로마-레이덴 탐색 프로젝트에서 발견한 소행성들은 세부 프로젝트 순서에 따라 임시 이름이 붙었다. 세부 프로젝트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 '''P-L'''  팔로마-레이덴 프로젝트 (1960~1970)
  • '''T-1'''  팔로마–레이덴 트로이군 프로젝트 (1971)
  • '''T-2'''  팔로마–레이덴 트로이군 프로젝트 (1973)
  • '''T-3'''  팔로마–레이덴 트로이군 프로젝트 (1977)


작명 규칙은 "발견된 순서(숫자)" "프로젝트 이름"으로, 예를 들어 소행성 6344 P-L은 팔로마-레이덴 프로젝트에서 발견한 6344번째 소행성이고, 4835 T-1은 첫 번째 트로이군 프로젝트에서 발견된 소행성임을 나타낸다.

이 작명 규칙을 따르는 소행성들 거의 대부분은 현재 정식 명칭을 부여받았다.

2. 3. 명명법 변천사

1925년부터 현재의 소행성, 센타우루스, 해왕성 바깥 천체를 포함하는 소행성체 임시 명칭 체계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전 체계들은 소행성체 수가 증가함에 따라 한계에 도달하여 대체되었다.

2. 3. 1. 정식 명칭의 변천사

19세기 초 최초로 발견된 4개의 소행성에는 천문 기호가 부여되었다. 1 세레스데메테르의 낫(⚳), 2 팔라스는 마름모꼴에 십자가가 걸쳐진 모양(⚴), 3 주노는 별로 장식된 아프로디테의 거울(
16px
), 이후 별에 십자가가 걸쳐진 모양(⚵)으로 바뀜), 4 베스타는 불 제단의 화로(
16px
) 모양이었다.

하지만 소행성 각각에 기호를 붙이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했고, 소행성 수가 늘어나면서 사용하기 어려워졌다. 이에 1854년 요한 프란즈 엥케는 《Berliner Astronomisches Jahrbuch》에서 기호 대신 번호를 사용하자고 제안했다. 엥케는 아스트라이아를 1번으로 하여 에우노미아까지 번호를 매겼고, 기존에 기호를 사용하던 5개 소행성은 그대로 기호를 사용했다. 이듬해 아스트라이아는 5번으로 변경되었다.

새로운 명명 체계는 천문학자들 사이에서 빠르게 확산되어, 현재는 번호 뒤에 이름을 적는 방식으로 굳어졌다. 하지만 이 체계 도입 이후에도 28 벨로나벨로나의 채찍과 창,[12] 35 레우코테아는 고대 등대,[13] 37 파이다스는 십자가(
16px
) 등 일부 소행성들은 기호를 받았다.[14]

2. 3. 2. 과거 임시 명칭

1911년의 논문지 ''Astronomische Nachrichten''(AN)에 현재와 유사한 임시 명칭 형식의 체계가 처음 등장하였다. 소행성 발견 보고를 수리하면 AN이 새로운 번호를 할당하고, 그 신천체의 궤도가 계산되면 정식 명칭이 부여되는 방식이었다.

초기 임시 명칭은 발견 연도와 발견 순서를 나타내는 영문자(I는 사용하지 않고, J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음)로 구성되었다. 예를 들어, (333) 바데니아는 '''1892 A''', (163) 에리고네는 '''1892 B'''와 같이 임시 명칭이 붙여졌다. 그러나 1893년 소행성 발견 수가 증가하면서 발견 연도 뒤에 알파벳 두 개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즉, AA, AB, ... AZ, BA 순서로 영문자가 사용되었고, 연도가 바뀌어도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지 않았다. 예를 들어, '''1893 AP''' 다음은 '''1894 AQ'''와 같은 식이었다. 1916년에 영문자가 ZZ에 도달하자, 다음 소행성은 AA로 돌아가 '''1916 AA'''로 명명되었다.

사진 건판으로 촬영한 후, 건판에서 실제로 소행성이 발견되기까지, 그리고 발견 보고가 (원격지의 천문대에서) 중앙 기관으로 보내지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발견 보고를 시간 순서대로 정렬해야 했다. 현재에도 신천체의 발견 일시는 이미지가 촬영된 일시에 기초하며, 이미지에서 신천체를 찾은 일시와는 관계없다.

이후 발견 순서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견 연도와 소문자 알파벳을 조합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1915 a''' (혜성의 옛 임시 부호 '''1915a'''와 구별하기 위해 발견 연도와 알파벳 사이에 공백이 들어감)나 '''1917 b'''와 같은 식이었다. 1914년에는 발견 연도와 그리스 문자를 조합하는 형식도 사용되었다.

2. 4. 일시적 임시 명칭

일시적 임시 명칭은 소행성체 센터에서 임시 명칭을 부여하기 전에, 관측자나 관측한 천문대의 이름을 따서 잠시 구별하기 위해 붙여놓는 이름이다. 주로 정보화 시대 이전에 통신이 힘들거나 세계대전 등으로 인해 아예 불가능했을 당시에 사용하였다. 이러한 명칭에는 알파벳 대문자/소문자, 년도 및 숫자, 로마 숫자, 그리스 문자가 혼용되어 사용되었다.

다음은 천문대별 일시적 임시 명칭의 예시이다.

천문대 이름일시적 임시 명칭예시
라플라타 천문대[La Plata] `년도` `로마숫자`La Plata 1951 I, 1951 I
[La Plata] `년도` `대문자`La Plata 1950 G, 1950 G
로웰 천문대A `숫자`A0, A7
릭 천문대[Asteroid] `대문자`Asteroid B, B
일본 국립천문대 (미타카 캠퍼스)Tokyo `대문자`Tokyo B
Tokyo `소문자`Tokyo b
Tokyo `숫자`Tokyo 20
Tokyo `년도` `대문자`Tokyo 1954 D
베오그라드 천문대`년도` `소문자` [(Beograd)]1956 x (Beograd), 1956 x
`소문자`x
벨기에 왕립 천문대`소문자` [(Uccle)]p (Uccle), p
`소문자` `숫자` [(Uccle)]x2 (Uccle), x2
[`년도`] U `숫자`1945 U 12, U 12
시메이스 천문대[1942] SIGMA K `숫자`1942 SIGMA K1, SIGMA K1
[1942] SIG K `숫자`1942 SIG K1, SIG K1
sigma `숫자`sigma 1, sigma 229
아레키파 천문대Arequipa `소문자`Arequipa a
Areq `소문자`Areq a
Arequipa `숫자`Arequipa 17
Areq `숫자`Areq 17
알마아타 천문대Alma-Ata [Nr.] `숫자`Alma-Ata Nr. 1
`년도` A `숫자`1952 A1, A1
알제 천문대Alger `대문자`Alger A, Alger CM
Alg `대문자`Alg A, Alg CM
여키스 천문대Y.O. `숫자`Y.O. 23
YO `숫자`YO 23
요하네스버그 천문대`대문자`A, E
G `숫자`G 1, G 21
T `숫자`T 9, T 16
워싱턴 천문대`년도` W `숫자`1917 W 15, 1923 W 21
윌슨 산 천문대[Asteroid] `대문자`Asteroid A, A
`대문자`D
쯔진산 천문대P.O. `숫자`P.O. 32, P.O. 189
PO `숫자`PO 32, PO 189
카산 천문대`숫자`1, 6
`소문자`d
크림 천체물리 관측소N `숫자`N1
K `숫자`K1, K3423
톤턴 천문대Taunton `숫자`Taunton 83
투르쿠 천문대T- `숫자`T-1, T-774
하이델베르그-쾨니히슈툴 주립 천문대Wolf [Nr.] `숫자`Wolf Nr. 18, Wolf 18
Wolf `소문자`Wolf u
Wolf `그리스문자`Wolf alpha
Heid `숫자`Heid 1, Heid 234


3. 혜성

1995년 이전까지 혜성에 사용되던 명명 체계는 복잡했다. 발견 연도 뒤에 공백을 두고 발견 순서대로 로마 숫자를 붙이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새로운 혜성이 발견되면 번호를 다시 매겨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예를 들어, 1881 III과 1881 IV 혜성이 발견된 후, 그 사이에 발견되었지만 보고가 늦어진 혜성은 1881 III 1/2 등으로 명명할 수 없었다. 또한 혜성은 부호보다는 발견자의 이름과 발견 연도로 불리는 경우가 많았다. 근일점 통과 순서에 따라 혜성을 알파벳 소문자로 나타내는 또 다른 표기법도 있었다. 따라서 페이 혜성(4P/Faye)는 1881 I (1881년에 발견된 첫 번째 혜성)이자 1880c (1880년에 근일점을 통과한 세 번째 혜성)로 표기되기도 했다.

1995년 이후의 혜성 명명 체계는 소행성의 임시 명칭과 유사하다.[7] 혜성의 임시 명칭은 발견 연도, 공백, 해당 연도 내의 발견 반월을 나타내는 *하나의* 문자(I는 숫자 1 또는 로마 숫자 I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건너뛴다), 반월 내의 발견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로 구성된다. 따라서 2006년 3월 후반에 발견된 여덟 번째 혜성은 임시 명칭 2006 F8을 받는다.

혜성이 분열되면, 각 조각에는 동일한 임시 명칭에 A, B, C, ..., Z, a, b, c..., z를 붙여 구분한다. 혜성이 52조각 이상으로 갈라지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소문자 z까지만 사용한다.

처음에 소행성으로 발견되었으나 나중에 혜성 꼬리가 발견되면 소행성 명칭을 그대로 유지한다. 예를 들어, 소행성 1954 PC는 페이 혜성으로 밝혀져 4P/1954 PC라는 명칭을 갖게 되었다. 마찬가지로, 소행성 1999 RE70은 혜성으로 재분류되어 176P/LINEAR (LINEAR 52 혜성) 및 118401 LINEAR로 알려져 있다.

혜성의 임시 명칭은 소행성과 마찬가지로 축약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006 F8이 주기 혜성인 경우, 국제 천문 연맹(IAU) 소행성 데이터베이스에 PK06F080으로 등재된다. 마지막 문자는 의도적으로 0으로 표기하여 혜성과 소행성 명칭이 겹치지 않도록 한다.

3. 1. 1994년 이전의 혜성 명명법

1994년 이전까지 혜성의 이름을 붙이는 방법은 상당히 복잡했다. 일반적으로 두 가지 방식이 사용되었는데, 첫 번째는 혜성이 발견된 연도 뒤에 해당 연도에 발견된 순서대로 로마 숫자를 붙이는 방식이었다. 예를 들어, 혜성 "1881 II"와 "1881 III"이 발견되어 이름을 부여받은 상태에서, 나중에 보고된 혜성이 있다면 "1881 II½" 등으로 이름을 붙일 수 없어 체계가 망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15]

두 번째 방법은 혜성이 근일점을 지난 순서대로 알파벳 소문자를 붙이는 방식이었는데, 이 방식 또한 마찬가지로 새로운 혜성이 발견되면 체계가 망가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 두 방식을 모두 사용하면, 페이 혜성(4P/페이)은 "혜성 1881 I"이면서 동시에 "혜성 1880c"가 된다.

3. 2. 1994년 이후의 혜성 명명법

1994년에 제안된 혜성 명명법은 소행성체 명명법과 비슷하다.[15] 발견 연도를 쓰고 공백을 한 번 둔 다음, 소행성체와 다르게 반월을 나타내는 알파벳 '''하나만''' 사용한다(I는 건너뛴다). 마지막 숫자는 발견 순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2006년 3월 두 번째 반월에 8번째로 발견된 혜성은 2006 F8이 된다.

혜성이 쪼개진다면, 혜성 임시 명칭 뒤에 A, B, C, ..., Z, a, b, c..., z를 붙인다. 혜성이 52조각 이상으로 갈라질 가능성은 매우 낮기 때문에 소문자 z까지만 사용한다.

천체가 처음에 소행성으로 분류되었는데 나중에 혜성 꼬리나 코마가 발견되면 기존의 소행성체 임시 명칭은 유지한다. 예를 들어, 소행성 1954 PC는 나중에 혜성이 되었고, 이 혜성의 명칭은 "4P/1954 PC"가 되었다. 비슷한 예시로, 소행성 는 추후 혜성으로 재분류되었고, 현재 명칭은 176P/LINEAR(LINEAR 52 혜성) 및 118401 LINEAR 두 가지이다.

혜성의 임시 명칭은 소행성과 같은 방식으로 축약하거나 "압축된 형태"로 제공하기도 한다. 2006 F8이 주기 혜성인 경우 IAU 소행성 데이터베이스에 PK06F080으로 등재된다. 마지막 문자는 의도적으로 0이며, 혜성과 소행성 명칭이 겹치지 않도록 한다.

3. 3. 주기 혜성

공전 주기가 200년 이하이거나 궤도를 한 바퀴 전부 완주한 혜성을 주기 혜성이라고 정의하며, 이 혜성들은 명칭 앞머리에 P를 붙인다. 예를 들어 322P/SOHO 혜성의 임시 명칭은 "P/2007 R5"이며, 공전 주기가 367년인 이케야-장 혜성의 임시 명칭은 "P/2002 C1"이다.[8] 주기 혜성들은 근일점을 한 번 이상 통과하면 영구 명칭을 부여받는다(주기 혜성 목록 참조).[8]

혜성은 대략적인 분류에 따라 네 가지 접두사 중 하나를 부여받는데, "P" 접두사는 "주기 혜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P/1997 C1 (게렐스 4 혜성)은 궤도 주기가 200년 미만이거나 한 번 이상의 근일점 통과가 관측된 혜성이다. 153P/이케야-장 혜성의 주기는 367년이다.[8]

1995년 이전에는 혜성 명명 시스템이 복잡했다. 발견 연도, 공백, 발견 순서를 나타내는 로마 숫자를 붙이는 방식이 사용되었으나, 새로운 혜성 발견 시 번호 재조정이 어려웠다. 예를 들어 1881 III과 1881 IV 사이에 다른 혜성이 발견되면 1881 III 1/2 등으로 명명할 수 없었다. 또한 혜성은 발견자 이름과 발견 연도로 불리는 경우가 많았다. 혜성을 근일점 통과 순서에 따라 알파벳 소문자로 표시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페이 혜성(4P/Faye)는 1881 I (1881년 첫 번째 발견) 또는 1880c (1880년 세 번째 근일점 통과)로 표기되었다.

1995년 이후, 혜성의 임시 명칭은 소행성과 유사하게 발견 연도, 발견 시기(영문자 1자, I 제외), 발견 순서(숫자)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2006년 3월 후반에 발견된 8번째 혜성은 2006 F8로 명명된다.

혜성 파편에는 동일 임시 명칭에 A-Z, a-z를 붙인다. 소행성으로 발견된 후 혜성 꼬리가 나타나면 소행성 임시 명칭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소행성 1954 PC는 페이 혜성(4P/1954 PC)이다. 소행성 은 혜성으로 재분류되어 176P/LINEAR 또는 (118401) LINEAR로 불린다.

혜성 임시 명칭은 단축 형식(예: 2006 F8 → PK06F080)으로도 사용된다.

3. 4. 비주기 혜성

주기 혜성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혜성은 혜성 이름 앞에 'C'를 붙인다. 예를 들어 C/2006 P1이 있다. 나중에라도 주기 혜성 조건을 충족하면 앞머리에 'P'를 붙인다. 혜성을 잃어버리거나 혜성이 파괴되었다면 'D'를 붙인다. 예를 들면 D/1993 F2가 있다. 과거에 관측되었으나 궤도를 계산할 수 없는 혜성들은 'X'를 붙인다. 예를 들면 X/1872 X1이 있다.

1995년 이전까지 혜성에 사용되던 명명 시스템은 복잡했다. 발견 연도 다음에 공백이 오고, 그 다음에는 발견 순서를 나타내는 로마 숫자를 붙였다. 예를 들어 1881년에 세 혜성이 발견되었는데, 처음 두 혜성은 '''1881 III''' 과 '''1881 IV''' 로 보고되었지만, 세 번째 혜성은 발견이 늦어져 '''1881 III 1/2''' 등으로 명명할 수 없었다. 또한, 혜성은 부호보다 발견자의 이름과 발견 연도로 불리는 경우가 많았다. 또 다른 표기법으로, 혜성을 근일점 통과 순서에 따라 알파벳 소문자를 사용하여 나타내는 방식도 있었다. 예를 들어 페이 혜성(현재 명명법으로는 '''4P/Faye''')는 '''1881 I''' (1881년에 발견된 첫 번째 혜성)나 '''1880c''' (1880년에 근일점을 통과한 세 번째 혜성)라는 부호로도 표기되었다.

1995년 이후의 명명 시스템은 소행성의 임시 부호와 유사하다. 혜성의 임시 부호는 발견 연도, 공백, 발견 시기를 나타내는 영문자 1자(A: 1월 전반, B: 1월 후반 등. I는 사용되지 않고, 12월 후반의 Y까지 이어진다) 및 발견 순서를 나타내는 번호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2006년 3월 후반에 발견된 8번째 혜성은 '''2006 F8''' 이라는 임시 부호를 받는다.

혜성이 분열된 경우에는, 개별 파편에는 같은 임시 부호에 A, B, C ... Z, a, b, c ... z 라는 아래 첨자를 붙인다. 52개 이상의 파편을 추적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새로운 천체가 처음 소행성으로 발견된 후에 혜성과 같은 꼬리가 나타난 경우에는, 소행성으로서의 임시 부호는 그대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소행성 '''1954 PC''' 는 후에 페이 혜성임이 밝혀졌지만, '''4P/1954 PC''' 라고 부르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소행성 '''''' 은 발견 후에 혜성으로 재분류되었고, LINEAR 프로젝트에 의해 발견되었기 때문에, 현재 '''176P/LINEAR''' 또는 (118401) LINEAR 라고 불린다.

혜성의 임시 부호는 소행성과 마찬가지로 단축 형식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2006 F8 이 주기 혜성임이 밝혀지면, IAU 의 소천체 데이터베이스에는 PK06F080 이라는 부호로 수록된다. 소행성의 부호와 겹치지 않도록, 부호의 마지막에는 0이 붙는다.

4. 위성 및 고리

행성의 위성이나 고리가 처음 발견되면 S/2000 J 11, S/2005 P 1, R/2004 S 2 등과 같은 형식의 임시 명칭이 부여된다. "S/"와 "R/"은 각각 "Satellite"(위성)과 "Ring"(고리)을 나타내며, 혜성과 구별된다. 때로는 S/2000 J11처럼 두 번째 공백을 생략하기도 한다.

뒷 숫자는 발견 연도, 즉 위성이나 고리가 처음으로 찍힌 사진의 날짜이다. 그 다음 알파벳은 중심 행성을 가리키며, 수성(H)을 제외하고는 모두 영문명의 앞 글자를 딴다. 마지막 숫자는 해당 연도에 발견된 위성 또는 고리들 중 해당 천체가 몇 번째인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나이아드는 해왕성의 가장 안쪽 위성으로 처음에는 S/1989 N 6로 지정되었다가, 나중에 존재와 궤도가 확인되면서 Neptune III Naiad라는 정식 명칭을 받았다.

4. 1. 위성 명명법

행성의 위성이 처음 발견되면 S/2000 J 11, S/2005 P 1과 같은 형식으로 임시 명칭이 붙는다. "S/"는 "Satellite"의 약자로, "위성"을 나타낸다. 간혹 S/2000 J11처럼 띄어쓰기를 생략하기도 한다.

뒤 숫자는 발견 연도, 즉 위성이 처음으로 찍힌 사진의 날짜를 나타낸다. 그다음 알파벳은 중심 행성을 가리키며, 수성(H)을 제외하고는 모두 영문명의 앞 글자를 딴다. 마지막 숫자는 해당 연도에 발견된 위성들 중 해당 천체가 몇 번째인지를 나타낸다.

소행성의 위성의 경우도 행성과 유사한 명명 규칙을 따르지만, 모천체의 기호가 없기 때문에 소행성 번호가 부여된 경우에는 번호를, 번호가 없는 경우에는 소행성의 임시 부호를 괄호 안에 넣어 표시한다. 예를 들어 (66391) 1999 KW4의 위성은 S/2001 (66391) 1이며, 2001 QW322의 위성은 S/2001 (2001 QW322) 1이 된다. 왜행성은 소행성 번호가 부여되어 있으므로, 명왕성의 위성의 경우에는 P 대신 소행성 번호인 (134340)이 사용되기도 한다.

4. 2. 소행성체의 위성

소행성 위성 등 소행성체의 위성들의 경우에도 위성과 같은 명명 규칙이 적용되며, 행성명은 해당 소행성체의 소행성 번호로 대체된다. 예를 들어, 2001년 발견됐던 87 실비아의 위성 로물루스의 임시 명칭은 S/2001 (87) 1 이었다.[9]

소행성 위성과 같은 소행성 위성에 대한 임시 명칭 체계는 주요 행성의 위성에 대해 확립된 방식을 따른다. 소행성의 경우, 행성 문자 코드는 괄호 안의 소행성 번호로 대체된다. 따라서 2001년에 발견된 87 실비아의 첫 번째 관측 위성은 처음에 S/2001 (87) 1 로 지정되었으며, 나중에 (87) 실비아 I 로물루스로 영구적인 명칭을 받았다. 둘 이상의 위성이 발견된 경우, 로마 숫자는 발견 순서를 지정하므로 실비아의 두 번째 위성은 (87) 실비아 II 레무스로 지정된다.

왜행성은 소행성 번호가 부여되어 있으므로, 명왕성의 위성의 경우에는 P 대신 소행성 번호인 (134340)이 사용되기도 한다. 2006년에 명왕성이 재분류된 이후, 그 이후의 명왕성 위성 발견은 소행성 시스템을 따른다. 따라서 2005년에 발견된 닉스히드라는 S/2005 P 2 와 S/2005 P 1 이었지만, 각각 2011년과 2012년에 발견된 케르베로스스틱스는 S/2011 (134340) 1 과 S/2012 (134340) 1 이었다. 하지만 "S/2011 P 1"과 "S/2012 P 1" 형식의 비공식적인 사용도 있었다.[9][10]

소행성의 위성의 경우도 기본적으로 행성과 유사한 명명 규칙을 따르지만, 모천체의 기호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소행성 번호가 부여된 경우에는 번호를, 번호가 부여되지 않은 경우에는 소행성의 임시 부호를, 각각 괄호 안에 넣음으로써 기호를 대신한다. 예를 들어 번호가 있는 (66391) 1999 KW4의 위성은 S/2001 (66391) 1 이며, 번호가 없는 2001 QW322의 위성은 S/2001 (2001 QW322) 1 이 된다.

소행성의 위성의 임시 부호 시스템은 행성의 위성의 임시 부호에 준거한다. 소행성의 경우 행성을 나타내는 알파벳 대신 괄호 안에 묶인 소행성 번호 또는 임시 부호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1998년에 발견된 (87) 실비아의 위성에는 S/2001 (87) 1 이라는 임시 부호가 붙여졌고, 후에 Sylvia I Romulus라는 정식 명칭이 주어졌다. 또한 2005년에 발견된 (136199) 에리스(당시에는 2003 UB313)의 위성에는 S/2005 (2003 UB313) 1 이라는 임시 부호가 붙여졌고, 나중에 Eris I Dysnomia라는 정식 명칭이 주어졌다.

5. 압축형 명칭 체계

현재 소행성체 (소행성, 센타우루스, 해왕성 바깥 천체) 임시 명칭 체계는 1925년부터 시작되었으며, 기존 체계들이 소행성체 수 증가로 한계에 도달하여 대체용으로 개발되었다. 압축형 체계는 데이터베이스나 전자 문서 등에 쓰인다. 소행성 센터(MPC)의 궤도 데이터베이스(MPCORB)는 모든 임시 명명된 소행성체를 지칭하기 위해 "압축 형식"을 사용한다.

5. 1. 압축형 소행성체 명칭

소행성체 센터(MPC)의 궤도 데이터베이스(MPCORB)에서는 정식 명칭이 부여되지 않은 모든 소행성체의 임시 명칭을 압축형으로 표시하고 있다.

압축형 명칭에서는 기존 명칭과 달리 순서를 나타내는 알파벳이 뒤로 가고, 숫자가 앞으로 온다. "압축되지 않은" 형식의 임시 소행성 명칭은 새 형식의 임시 명칭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2. 압축형 임시 명칭

소행성체 센터(MPC)의 궤도 데이터베이스(MPCORB)에서는 정식 명칭이 부여되지 않은 모든 소행성체의 임시 명칭을 압축형으로 표시하고 있다. 압축형 명칭은 기존 명칭과 달리 순서를 나타내는 알파벳이 뒤로 가고, 숫자가 앞으로 온다.

압축형 임시 명칭 체계의 규칙은 다음과 같다.

  • 모든 명칭은 띄어쓰기 없이 7글자로 구성된다.
  • 연도는 4글자 대신 2글자 코드로 줄여 쓴다. (예: 2014 → K14, 아래 표 참조)
  • 숫자는 모두 2글자 코드로 줄인다. (00은 숫자가 없을 때, A0는 100을 나타낸다)
  • 반월을 나타내는 알파벳 뒤에 숫자 2글자를 쓰고, 그 뒤에 순서 알파벳을 쓴다.


압축형 체계에서는 "i"를 사용한다. 따라서 알파벳 대소문자를 모두 사용하면 한 반월에 15,500개(619 × 25 + 25)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최근 한 반월간 발견된 천체 수보다 몇 배 더 많다.
예시

  • 1995 XA는 `J95X00A`가 된다.
  • 1995 XL1는 `J95X01L`가 된다.
  • 2016 EK156는 `K16EF6K`가 된다.
  • 2007 TA418는 `K07Tf8A`가 된다.

예시 설명

  • 1995년은 J95로 압축된다. 그 뒤에 반월 알파벳 X를 쓴 다음, 아래첨자 숫자가 없으므로 00을 쓰고, 마지막으로 A를 쓴다.
  • 1995년은 J95로 압축된다. 아래첨자 숫자 "1"은 "01"로 바뀌어 첫 알파벳 뒤에 표시된다.
  • 2016년은 K16으로 압축된다. 아래첨자 숫자 "156"은 "F6"으로 변환된다(아래 표 참조).
  • 2007년은 K07로 압축된다. 아래첨자 숫자 "418"은 "f8"로 변환된다(아래 표 참조).

변환용 표

발견 세기
IJKL...
18XX19XX20XX21XX...



3자리 이상 숫자 변환표
ABCDEFGHIJKLMNOPQR
100s110s120s130s140s150s160s170s180s190s200s210s220s230s240s250s260s270s
STUVWXYZabcdefghij
280s290s300s310s320s330s340s350s360s370s380s390s400s410s420s430s440s450s
klmnopqrstuvwxyz
460s470s480s490s500s510s520s530s540s550s560s570s580s590s600s610s


추가 설명2016년 3월 1~15일에 발견된 소행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2016: 천체가 발견된 연도.
  • E: 천체가 발견된 반월(半月)을 나타내며, A(1월 1~15일)부터 Y(12월 16~31일)까지이다. I는 숫자 1과 혼동되어 사용하지 않고, Z는 사용되지 않는다.
  • K156: 해당 반월에 발견된 천체들 중 몇 번째인지를 나타낸다. 처음 25개는 숫자 없이 I를 제외한 알파벳을 사용하며, 뒤 숫자는 알파벳 바퀴 수(A~Z가 몇 번 돌았는지)를 나타낸다. K156은 156×25(알파벳 수)+10(K는 10번째 알파벳)=3910번째로 발견된 천체이다.


1번째 글자 
ABCDEFGHJKLMNOPQRSTUVWXY
1월
1–15
1월
16–31
2월
1–15
2월
16–29
3월
1–15
3월
16–31
4월
1–15
4월
16–30
5월
1–15
5월
16–31
6월
1–15
6월
16–30
7월
1–15
7월
16–31
8월
1–15
8월
16–31
9월
1–15
9월
16–30
10월
1–15
10월
16–31
11월
1–15
11월
16–30
12월
1–15
12월
16–31
2번째 글자
ABCDEFGHJKLMNOPQRSTUVWXYZ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



숫자
123456789101112...n
025507510012515017520022525027530025 × n


5. 3. 압축형 조사 프로젝트 명칭

팔로마-레이덴 관측 탐사(PLS)에서 사용했던 특수 명칭은 압축형으로 쓸 수 있다.

  • `PLS6344`
  • `T1S4835`
  • `T2S1010`
  • `T3S4101`


관측 탐사 명칭은 팔로마-레이덴 관측 탐사(PLS) 동안 사용되었으며, 위와 같이 더 단순한 압축된 형식을 갖는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6344 P-L은 `PLS6344`로 표기된다.
  • 4835 T-1은 `T1S4835`로 표기된다.
  • 1010 T-2는 `T2S1010`로 표기된다.
  • 4101 T-3은 `T3S4101`로 표기된다.


관측 탐사 명칭은 임시 명칭 및 영구 번호의 소수 자릿수를 포함하는 세 번째 문자에 문자 `S`가 있어 임시 명칭과 구별된다.

5. 4. 압축형 영구 명칭

정식 소행성체명의 압축형은 길이가 5글자로, 소행성체의 번호만 사용되어 표현된다. 10만 미만의 소행성 번호는 5자리가 되도록 앞에 0을 채운다. 10만부터 619,999 사이의 소행성은 임시 부호 숫자와 유사하게 알파벳 대문자(A-Z)와 소문자(a-z)를 사용한다.

  • `A`는 100,000–109,999
  • `B`는 110,000–119,999
  • `a`는 360,000–369,999
  • `z`는 610,000–619,999


; 예시:

  • `00001`은 1 세레스를 나타낸다.
  • `99999`는 (99999) 1981 FP를 나타낸다.
  • `A0000`은 100000 아스트로노미카를 나타낸다.
  • `A9999`는 (109999) 2001 SZ62를 나타낸다.
  • `G3693`은 163693 아티라를 나타낸다.
  • `Y2843`은 342843 데이비드 보위를 나타낸다.
  • `g0356`은 420356 프람지우스를 나타낸다.


62만 이상의 번호를 가진 소행성의 경우, 물결표(`~`)가 첫 번째 문자로 사용되며, 나머지 4개의 문자는 62진법(0-9, A-Z, a-z 순서)으로 인코딩되어 소행성 번호에서 62만을 뺀 값을 나타낸다. 이 시스템은 1,500만 개 이상의 소행성 번호를 표현할 수 있다.

혜성의 경우, 영구 명칭은 다시 관측되는 주기 혜성에만 적용된다. 처음 네 글자는 혜성의 번호(왼쪽 0 채움)이고, 다섯 번째 문자는 "P"이며, 주기 혜성이 사라지거나 소멸된 경우에는 "D"이다.

자연 위성의 경우, 영구 압축 명칭은 행성 문자, 변환된 로마 숫자(왼쪽 0 채움)를 포함하는 세 자리 숫자, 마지막으로 "S"의 형식을 취한다. 예를 들어, 목성 XIII 레다는 `J013S`이고, 해왕성 II 네레이드는 `N002S`이다.

참조

[1]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1 Ceres (A801 AA) https://ssd.jpl.nasa[...] 2024-10-03
[2] 웹사이트 1854AN 38..143 Page 143/144 http://adsbit.harvar[...] Adsbit.harvard.edu 2014-06-13
[3] 웹사이트 1855AN 40..373K Page 373/374 http://adsbit.harvar[...] Adsbit.harvard.edu 2014-06-13
[4] 웹사이트 http://adsbit.harvar[...]
[5] 웹사이트 What is a Dwarf Planet? https://www.jpl.nasa[...] 2015-04-22
[6] 웹사이트 Unicode request for dwarf-planet symbols https://www.unicode.[...] 2021-10-26
[7] 웹사이트 Cometary Designation System http://www.minorplan[...]
[8] 웹사이트 Cometary Designation System https://minorplanetc[...] Minor Planet Center 2011-07-03
[9] 웹사이트 Pluto Moons https://sites.google[...]
[10] 뉴스 Fourth Moon Adds to Pluto's Appeal http://pluto.jhuapl.[...] Johns Hopkins University Applied Physics Laboratory 2011-07-20
[11] 웹사이트 Provisional Designations 'Minor Planet Center' http://www.minorplan[...]
[12] 웹인용 1854AN 38..143 Page 143/144 http://adsbit.harvar[...] Adsbit.harvard.edu 2014-06-13
[13] 웹인용 1855AN 40..373K Page 373/374 http://adsbit.harvar[...] Adsbit.harvard.edu 2014-06-13
[14] 웹사이트 http://adsbit.harvar[...]
[15] 웹사이트 Cometary Designation System http://www.minorpl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